김쨈창고
Git 명령어 본문
Setting
- git --version ▶git 설치버전 확인
- git init ▶git저장소로 사용
-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사용자영문이름 ▶사용자 이름 설정
-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사용자이메일주소 ▶사용자 이메일 설정
- git config --list ▶git관련 환경설정 확인
작업하기
- git status ▶현재 저장소 상태확인
- git add 파일명 ▶해당 파일을 staging area로 저장
- git add (.) or (-A) or (--all) ▶작업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을 staging area로 저장
- git rm --cached 파일명 or -r ▶add한 내용을 취소 (ex.add .으로 add된 모든 파일의 add 취소는 git rm -r --cached .)
- git commit -m '로그메세지' ▶staging area에 추가된 파일을 로컬저장소(repository)로 업로드
- git commit -am '로그메세지' ▶stage상태의 파일을 수정한 경우 add/commit을 한번에 실행
- git rm 파일명 ▶ 해당 파일을 삭제
- git mv 파일명 새파일명 ▶ 해당 파일명 새파일명으로 교체. 파일명이 바뀌어도 기존 로그는 그대로 유지
- git log ▶저장소의 로그 확인
- git diff 기준로그ID..비교로그ID ▶기준로그와 비교로그 사이의 코드 변경내역 확인
- git diff -- 파일명 ▶stage상태의 파일과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파일을 비교
- git diff HEAD – 파일명 ▶HEAD와 현재 작업 디렉토리의 파일을 비교(add가 안된 파일과 최신파일의 비교)
- git diff – cashed HEAD – 파일명 ▶commit된 최신작업과 비교
branch 관리
- git branch ▶저장소의 브랜치 목록 확인
- git branch -r ▶remote저장소에 있는 브랜치 목록 확인
- git branch -m 기존브랜치명 변경브랜치명 ▶브랜치 이름변경
- git branch -d 브랜치명 ▶로컬브랜치 삭제
- git checkout 브랜치명 ▶브랜치로 이동
- git checkout -b 브랜치명 ▶브랜치를 새로 생성하고 해당 브랜치로 이동
- git checkout 로그ID ▶해당 커밋 시점으로 돌아감
- git checkout -- 파일명 ▶HEAD에서 00가장 최근에 수정된 파일을 가져
- git merge 브랜치명 ▶브랜치 병합
- git merge --no-ff 브랜치명 ▶브랜치를 병합하되 기준브랜치가 fast-forward 되지 않게 함
- git reset [--mixed] 로그ID ▶작업 디렉토리 내용만을 로그ID의 상태로 되돌림
- git reset [--hard] 로그ID ▶작업 디렉토리에서 변경된 내용을 모두 버리고 되돌림
- git reset [--soft] 로그ID ▶작업 디렉토리 내용과 stage에 있는 내용을 모두 가져가서 되돌림
- git reset HEAD^ ▶직전 commit 지우기
- git checkout --orphan 새 브랜치명 ▶고아브랜치 생성
remote 저장소관리
- git remote add origin remote저장소 주소 ▶내 로컬저장소와 remote저장소를 연결
- git remote rm origin ▶연결된 remote저장소의 연결해제
- git clone HTTP ▶remote저장소 내려받기
- git clone HTTP -b 브랜치명 ▶특정브랜치만 내려받기
-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▶remote저장소로 브랜치 업로드
- git push origin :브랜치명 ▶remote 브랜치 삭제
- git pull ▶remote저장소의 최신상태를 내 로컬로 내려받음
'마크업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bash에서 한글이 깨질 경우 (1) | 2018.03.07 |
---|---|
Git 사용하기 (0) | 2016.07.14 |
Git 공부 메모장 (0) | 2014.08.27 |